맨위로가기

현대 RM16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현대 RM16은 2016년 부산 모터쇼에서 공개된 현대자동차의 고성능 프로젝트 RM의 세 번째 모델이다. RM15의 미드십 엔진 배치를 유지하면서, 전동식 슈퍼차저를 추가하여 엔진 출력을 향상시키고, i30 N, 벨로스터 N에 적용된 e-LSD를 통해 선회 성능을 개선했다. 능동형 주행 제어 기술과 가변 볼스터 스포츠 시트 등을 적용하여 주행 성능과 운전의 즐거움을 향상시키는 데 초점을 맞췄으며, 양산형 N 모델의 기술 개발에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컨셉트 카 - 푸조 오닉스
    푸조 오닉스는 푸조 디자인 센터에서 디자인한 콘셉트카로, 탄소 섬유와 구리 포일을 사용하고 V8 3.7L 엔진을 탑재하여 680마력의 출력을 내며 비디오 게임에도 등장한다.
  • 컨셉트 카 - 비전 T
    비전 T는 현대자동차의 콘셉트 SUV로, 미래지향적 디자인과 역동적인 이미지를 구현한 것이 특징이다.
  • 현대자동차 - 아이오닉 5
    아이오닉 5는 현대자동차가 2021년에 출시한 전기차로, 3m에 달하는 휠베이스를 기반으로 넓은 실내 공간을 제공하며, E-GMP 플랫폼을 기반으로 800V 고속 충전 시스템을 지원하며 V2L 기능을 통해 최대 3.6kW의 전력을 공급한다.
  • 현대자동차 - 현대 포니
    현대 포니는 대한민국 최초의 고유 모델 자동차로서, 1975년부터 1990년까지 생산되었으며, 독창적인 디자인과 다양한 모델 출시로 한국 자동차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현대자동차 디자인 유산으로 자리매김했다.
  • 자동차 기업에 관한 - 세아트
    세아트는 스페인 정부와 은행, 피아트의 합작으로 1950년 설립되어 피아트 기술 지원으로 성장하다 폭스바겐 그룹 자회사가 되었으며, 현재 스페인 마토렐에 본사를 두고 고성능 브랜드 쿠프라를 강화하고 있다.
  • 자동차 기업에 관한 - 마쓰다
    마쓰다는 1920년 동양코르크공업으로 설립되어 3륜 트럭 생산을 시작, 로터리 엔진 기술을 통해 독자적인 입지를 구축했으며, 스카이액티브 기술과 디자인 철학을 바탕으로 기술 혁신을 지속하고 있는 일본의 자동차 제조 회사이다.
현대 RM16
현대 RM16
현대 RM16
현대 RM16
제조사현대자동차
생산 년도2016년
차체
차대알루미늄 합금 모노코크
파워트레인
엔진현대 세타 T-GDi 2.0 w/전동식 슈퍼차져
최고 출력300ps
최대 토크39.0kg.m
구동 방식
구동 방식후륜구동 미드쉽

2. RM15와의 차이점

RM15가 2015년에 등장한 것에 이어, RM16은 이후 N 모델에 적용될 기술들을 본격적으로 시험하기 시작한 모델이다. 주요 차이점으로는 터보차저 엔진이었던 RM15와 달리 전동식 슈퍼차저를 추가하여 출력을 향상시켰고, i30 N벨로스터 N 등 양산 N 모델에 적용된 e-LSD(전자 제어식 차동 제한 장치)를 탑재하여 선회 성능을 개선했다. 이 외에도 주행 상황에 따라 능동적으로 작동하는 액티브 리어 스포일러, 전자식 가변 배기 시스템, 주행 모드에 따라 형태가 변하는 가변 볼스터 스포츠 시트 등이 추가되었다.[1]

2. 1. 엔진 성능 향상

2015년에 등장한 RM15터보차저 엔진을 탑재했던 것과 달리, RM16은 전동식 슈퍼차저를 추가로 장착하여 엔진 출력을 향상시켰다. 이는 이후 N 모델에 적용될 기술들을 본격적으로 시험하기 위한 것이었다.[1] 전동식 슈퍼차저의 추가는 특히 중속 영역에서의 가속 성능 개선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된다.

2. 2. e-LSD 적용

2015년의 RM15와 비교하여 RM16은 이후 N 모델에 적용될 기술을 본격적으로 시험하기 시작한 모델로, i30 N벨로스터 N 등 양산형 N 모델에 적용된 전자 제어식 차동 제한 장치(e-LSD)가 적용되어 선회 성능을 향상시켰다. e-LSD는 주행 상황에 맞춰 좌우 바퀴의 구동력을 능동적으로 배분하여, 코너링 시 차량의 움직임을 더욱 안정적이고 민첩하게 만드는 역할을 한다. RM16에서 시험된 이 기술은 이후 실제 N 브랜드 양산 차량에 적용되어, N 모델 특유의 운전 재미와 성능을 구현하는 핵심 요소 중 하나가 되었다.[1]

2. 3. 능동적 주행 제어 기술

RM16에는 주행 조건에 따라 자동으로 각도가 조절되는 액티브 리어 스포일러가 적용되어 공기 저항을 최적화하고 주행 안정성을 높였다. 또한, 운전자의 취향이나 주행 상황에 맞춰 배기음을 조절할 수 있는 전자식 가변 배기 시스템이 탑재되었다. 실내에는 주행 모드에 따라 시트 옆부분(볼스터)의 형태가 변하여 운전자의 몸을 효과적으로 지지해주는 가변 볼스터 스포츠 시트가 적용되어 운전 몰입감을 향상시켰다.[1]

3. 상세

2016년 부산 모터쇼를 통해 일반에 공개된 RM16은 프로젝트 RM의 세 번째 모델이다.[2] RM15와 마찬가지로 미드십 구조의 엔진 배치 레이아웃을 유지하면서, RM15 대비 성능 및 주행 질감의 향상에 초점을 맞추고 개발되었다.[2] 이 모델에는 이후 양산될 N 모델에 적용될 다양한 선행 기술들이 탑재되어 시험 및 개발이 이루어졌다.[2]

3. 1. 엔진 및 구동계

RM15를 기반으로 개발된 RM16은 성능과 주행 질감 향상에 중점을 두었다. 엔진 부분에서는 RM15와 달리 전동식 슈퍼차저를 추가하여 출력을 높였으며, 이를 통해 중속 영역에서의 가속 성능이 크게 향상되었다. 구체적으로 60-100km/h 가속 성능은 14% 향상되었고, 80-120km/h 가속 성능은 17% 향상되었다.

구동계에는 이후 N 모델에 적용될 기술을 선행 개발하고 테스트하기 위한 목적으로 e-LSD가 탑재되었다. 이 기술은 RM16에서의 검증을 거쳐 이후 출시된 i30 N, 벨로스터 N, 아반떼 N, 코나 N에 실제로 적용되어 선회 성능 향상에 기여했다. 또한, 전자식 가변배기시스템 역시 RM16을 통해 먼저 개발되어 양산 N 모델에 적용된 기술 중 하나이다.[2]

3. 2. 기타 기술

전자식 가변 배기 시스템은 이후 양산되는 N 모델에 적용된 기술 중 하나이다. 이는 RM 시리즈가 향후 양산될 차량의 기술 및 기능을 미리 탑재하여 연구 개발에 기여했음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또한, 주로 레이스카에서 사용되는 푸시로드 타입의 더블 위시본 서스펜션을 적용하여 주행 성능 및 코너링 성능에 대한 영향을 평가했으며, 주행 조건에 따라 에어로 다이나믹스 성능을 최적화할 수 있는 가변형 액티브 리어 스포일러도 적용되어 테스트가 진행되었다.[2]

참조

[1] 웹인용 "[BIMOS 2016] 현대차, 고성능 N 연구개발의 산실 'RM16' 최초 공개" http://kr.aving.net/[...] 2021-11-24
[2] 웹인용 2016 부산모터쇼에서 만나는 고성능 N현대자동차, 운전의 즐거움을 선사하다 https://news.hmgjour[...] 2021-11-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